뭐..사람이 살아가면서 그래서는 않되겠지만은..
그래도 어느정도 법을 알고 있으면 문제는 없지 않겠는가…힘없는 전세 세입자들이 피해를 보지 않기 위해서는.
아래의 절차 정도는 알아두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듯 하네…^^
1) 계약기간 만료 최소 1개월 전에는 집주인에게 내용증명(우체국에 신청)으로
계약만료와 함께 이사하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통보한다
(내용증명은 세입자의 이사간다는 의사를 우체국을 경유하여 집주인에게 통보하였음을
국가가 보증한다는 형식임).
2) 계약만료일이 지나면 바로 그 다음날 임차권등기를 신청한다.
임차권등기라는 것은 한마디로 집에 대하여 세입자가 그 집을 압류하는 것과 같습니다.
비용은 2만원 약간 더 듭니다. 가까운 법원으로 가세요.
3) 약 2주 후면 임차권등기가 실제로 등기소에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
그 이후에는 이사를 가도 되고 주민등록을 모두 옮겨도
그 집은 세입자의 허락없이 거래가 불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대부분 집주인들은 임차권이 설정되면 무슨 수를 써서라도 전세금을 마련하려고 노력하게 됩니다
바로 이 싯점에서 집주인들이 요즘과 같이 돈을 구하기 어려우면 급매로 집을 내놓게 되어
집값 하락이 유도되는 것입니다.
4) 임차권이 설정되었음에도 돈이 돌아올 기미가 없으면 가까운 지방법원에 '전세금 반환소송'을 신청한다. 모르면 인터넷 검색하여 '전세금반환'을 치면 법무사들이 친절히 설명해줍니다. 돈도 몇푼 안듭니다.
다른 소송이나 다툼과 달리 전세계약위반사건은 집주인의 일방적이고 명백한 불법행위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단 한건도 세입자가 지는 경우가 전무합니다. 법무사를 통하든 직접하든 전세금반환소송은 길어야 6개월이고 그것이 끝나면 그동안 못받은 전세원금 +매월 이자 20%씩 되돌려 받게되고 법무사, 변호사 등 소송비용 전부를 집주인이 토해내야 합니다.
5) 만일 그럼에도 돈을 안주면 바로 경매신청하여 그 집을 매각한다.
물론 세입자가 사고 싶으면 참여해도 된다.
그러나 세입자들이 바보같이 가만히 앉아 있으니 집주인들은 요즘과 같이 집값이 하락하는 시기에 전세금 돌려줄 돈도 없으면서 버티면서 집을 안팔고 버티기 때문에 정상적인 시장질서가 왜곡되고 있다는 것을 말씀드립니다.
서울 특별시 법무 행정 서비스에 문의된 내용
http://legal.seoul.go.kr/legal/front/page/cyber.html pAct=view&pCounsel=026721&pTreeOpenId=cyber
'부동산이야기(삶의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중계 수수료에 대한 요율 (0) | 2013.10.01 |
---|---|
전세만기전 이사를 해야 할경우 (0) | 2013.09.24 |
생애 최초 주택구입 자금의 취득세 면제 조건 (0) | 2013.09.24 |
전세자금 대출에 대한 정리. (0) | 2011.06.21 |
가장기본이 되는 추천 교과서.. (0) | 2011.06.13 |